트럼프, 인도네시아산 전 제품에 32% 관세 부과…프라보워 정부는 협상 지속 방침
페이지 정보
VIEW 21HIT 작성일 25-07-11 09:12
본문
(사진 출처: 위키백과)
•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네시아산 전 제품에 32%의 상호 관세를 8월부터 적용한다고 발표하며, 미국 내 생산 이전을 조건으로 철회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 인도네시아는 보복보다는 협상을 선택, 관세 인하와 국내 생산 부품 의무(TKDN) 완화 등을 포함한 포괄적 제안을 제시했으나 협상은 결렬되었다.
• BRICS 가입이 배경이라는 분석 속에서도 인도네시아 정부는 이를 부인하며, 미국과의 협상 재개를 위한 외교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은 오는 2025년 8월 1일부터 인도네시아산 전 제품에 32%의 수입 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 결정은 7월 7일 프라보워 수비안토(Prabowo Subianto)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을 통해 전달됐으며, 무역 협상이 진행 중인 가운데 나온 조치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적자 해소를 위해 이번 조치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하면서도, 인도네시아 기업이 미국 내에 생산 시설을 설립할 경우 관세는 철회될 수 있다고 조건을 달았다. 트럼프 행정부는 인도네시아의 ▲30%에 달하는 미국산 에탄올에 대한 고율 관세 ▲복잡한 수입 허가 절차 ▲국내 생산 부품 의무(TKDN) ▲천연자원 기업의 외화 송금 제한 등을 문제 삼아왔다.
한편, 인도네시아 정부는 상호 보복 조치를 취하기보다는 전략적 파트너인 미국과의 협상을 선택했다. 아일랑가 하르타르토(Airlangga Hartarto) 경제조정장관, 스리 물야니 인드라와티(Sri Mulyani Indrawati) 재무장관, 수기오노(Sugiono) 외교장관이 협상단으로 구성되어 미국으로 파견됐다. 인도네시아는 미국산 농산물·에너지 수입 확대, 통신기술 분야 TKDN 완화, 미국 제품에 대한 관세 인하 등의 포괄적 제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국은 무역·투자 부문에서 총 340억 달러(한화 약 551조 원) 규모의 협약을 체결했으나, 협상은 결국 결렬됐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7월 7일 최종적으로 32%의 상호 관세 적용을 통보했다. 같은 날, 아일랑가 장관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브릭스(BRICS) 정상회의에 참석한 직후 협상을 재개하기 위해 미국으로 급파됐다.
한편, 인도네시아의 BRICS 가입이 미국의 관세 부과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BRICS 참여국에 대해 추가 10%의 관세 부과를 경고했으며, BRICS는 미국 중심 경제 질서에 대한 대안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아리프 하바스 오에그로세노(Arif Havas Oegroseno) 외교부 차관은 이에 대해 강하게 부인하며, 인도네시아의 BRICS 참여는 독립적 외교의 일환이라고 해명했다.
(출처: https://www.tempo.co/ekonomi/kilas-balik-tarif-impor-trump-negosiasi-hingga-brics-1943538 )